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항생제 부작용의 '항생제 내성균'의 위험성

by 니~킥 2022. 1. 4.
반응형

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사진 = DB

오늘은 항생제 부작용으로 생기는 항생제 내성균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생제 부작용의 '항생제 내성균'의 위험성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1,000명당 26.1명이 항생제를 처방받는다고 합니다. 이는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많다고 합니다. 지난 2019년 기준 항생제 사용량 1위는 그리스, 2위는 터키, 그리고 3위가 한국이였다고 합니다. 인체가 아닌 축산이나 수산 분야에서의 항생제 사용량도 많다고 합니다. 일본의 2배, 덴마크의 6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항생제 내성률 역시 인체와 비인체 모두 우리나라가 선진국보다 높다고 합니다.

 

항생제 내성균의 부작용

항생제는 세균에 감염돼 걸리는 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는 약이라고 합니다.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면 세균이 이를 피하고자 유전자 변이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이런 변이가 생길 확률은 매우 낮지만, 그 중 일부 변이가 항생제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합니다. 이는 즉, 항생제의 공격에도 죽지 않고 견디는 능력이 생긴다는 얘기라고 합니다. 이런 능력을 갖추게 된 세균을 항생제 내성균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항생제를 투약했을 때 항생제를 견디지 못하는 세균은 죽지만, 내성균은 살아남아 계속 증식한다고 합니다. 그것은 약을 써도 듣지 않는 것입니다.

 

내성균이 늘면 효과가 나타나는 항생제는 반대로 줄어드는데,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여러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갖는 이른바 '슈퍼 세균'이 등장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할수록 내성균이나 슈퍼세균은 잘 만들어 진다고 합니다. 내성균 슈퍼세균에 감염된 환자는 제대로 듣는 약이 없어 치료가 어려울 수밖에 없게 된다고 합니다.

 

한번 생긴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간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고 합니다. 특히, 병원을 중심으로 소리 없이 확산되기 때문에 항생제 내성은 '조용한 팬데믹(Silent Pandemic)'이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항생제 내성균이 만연하게 된다면 항생제가 없던 과거와 마찬가지 상황이 될 것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작은 상처가 생겨도 쓸 약이 없으니 치료가 어려워지고, 수술이나 항암치료 중 자칫 세균에 감염되면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중 하나 항생제 내성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4,000여 명이 항생제 내성균 때문에 사망한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을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중 하나로 경고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축산이나 수산 분야에서도 항생제를 오용 또는 남용한다면 내성균이 생긴다고 합니다. 이는 생태계 순환을 거쳐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가축과 사람에게 모두 쓰이는 항생제를 무력화시키는 내성균이 나타나면 사람의 건강까지 위협받게 된다고 합니다. WHO는 이런 항생제를 '최우선 중요 항생제'로 지정하고 있는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사용량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고 합니다.

 

항생제 내성균 발생을 막기 위한 예방법

항생제 내성균은 발생과 전파를 모두 차단해야 한다고 합니다. 의료진과 환자 모두 손 씻기 같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건 기본이고, 병원뿐 아니라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역시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의사나 수의사는 항생제를 꼭 필요한 곳에만 적정한 양만큼 처방해야 한다고 합니다. 가령 감기나 독감처럼 항생제를 반드시 복용해야 하는 병이 아닌 경우에는 처방하지 말아야 한다고 합니다.

 

환자는 항생제의 복용량과 기간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증상이 나아졌다고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전에 남겨둔 항생제를 임의로 먹는 것은 금물이라고 합니다. 또, 농장 종사자나 식품 생산자는 가축의 성장 촉진을 위해 항생제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감염병 치료에만 수의사 처방에 따라 써야 한다고 합니다. 

 

자료 = 질병관리청·국민건강보험공단

 

 

 

그럼 여기까지 항생제 부작용의 '항생제 내성균'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